[Unity] 스크립트

2024. 9. 1. 18:56Unity

오늘은 Unity의 스크립트에 대해 공부해봤어요

Unity의 스크립트는 C#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고 합니다

 

먼저 스크립트는 Project창에 우클릭을 해서 Create - C# Script 로 만들 수 있더라구요

 

 

만들어진 스크립트입니댜 이름은 'Test'로 정했어요

 

만들어진 스크립트를 더블 클릭했더니 Visual Studio Code로 넘어가졌습니다

 

 

1~2번 줄의 System.Collections와 System.Collections.Generic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을 제공한다고 하네요(int나 char같은 자료형? 인것 같습니다만 아직은 정확히 모르겠네요;)

 

3번줄의 unityEngine은 유니티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하고 하네요

 

5번 째 줄에서는 클래스명을 정한거라 하네요 C#으로 작성한 프로그램은 클래스 단위로 관리된다 하네요

여기서 알아야 할 점은 클래스명 = 스크립트명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네요 클래스는 나중에 공부해서 올릴 예정입니다

 

6번 줄에 있는 여는 중괄호({)와 18번 줄에 있는 닫는 중관호(})사이에는 스크립트를 실행했을 때 처리되는 내용을 씁다고 하네요 중괄호로 감싼 부분을 블록이라고 하는데, 중괄호는 반드시 여는 중괄호와 닫는 중괄호를 쌍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하네요 이를 빠트리면 오류가발생하니 주의해야 겠네요

그리고 중괄호는 이렇게도 쓸 수 있다고 하네요!

 

7번 줄과 13번 줄에 보이는 슬래시 두 개(//)로 시작하는 줄은 주석 이라고 하네요 주석 뒤에 작성한 문장은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무시된다고 합니다 주석은 메모를 남기거나 작성한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싶지 않을 때 쓰면 편리하다 하네요 주석은 줄 중간에도 넣을 수 있다고 하는데 이때는 슬래시 두 개 뒤에 쓴 부분만 무시된다 하네요

 

8번 줄에 적인 Start와 14줄에 적힌 Update는 각각 Start메서드와 Update메서드라고 하네요 지금은 아무것도 작성하지 않았지만 블록 안에 처리할 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고 하네요

스크립트를 실행하면 Start와 Update블록안에 작성한 스크립트 코드가 실행된다 정도로만 기억해 두면 된다고하네욥

메서드는 나중에 공부한 뒤 올릴 예정이에요

 

정말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부분들을 공부해 봤습니다. 아직 깊게 공부하지도 않았는데 정말 재미있네요

근데 글작성이란 것은 정말 귀찮고 어려운 작업이란 걸 느끼고 있습니다 타이핑하고..사진 캡쳐해서 붙이고 ㅋㅋㅋ

다른 블로거 분들의 수준 높은 글을 볼때마다 존경을 안할 수가 없네요 ㄷㄷ

어쨋든 이번 글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!

'Un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Unity] Hello, World  (0) 2024.09.08
[Unity] 프레임과 실행 시점  (0) 2024.09.01
[Unity] 프로파일러  (0) 2024.08.31
[Unity] 씬 저장하기  (0) 2024.08.31
[Unity] 정육면체 추가하기  (0) 2024.08.3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