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nity(6)
-
[Unity] 프레임과 실행 시점
저번 글의 Start()와 Update() 메서드와 관련된 내용을 추가적으로 공부해 봤습니다 각설하고 바로 본 내용으로 들어가 자면, 게임 화면은 영화나 애니메이션과 마찬가지로 그림 한 컷을 플립북 방식(한 손으로 책을 잡고, 다른 한 손의 엄지 손가락을 사용해 책장을 빠르게 넘겨 읽는 방식) 으로 표시한다 하네요 이 그림 한 컷을 프레임이라고 하며, 1초에 표시되는 매수는 FPS(Frame Per Second / 초당 프레임) 단위로 센다 하네요대개 영화는 1초에 24프레임(24FPS), 게임은 1초에 60프레임(60FPS 근데 보통은 144프레임으로 하지 않나 십네욥;;) 속도로 그림을 전환해 애니메이션을 보여 준다고 하네요 단 1초동안 60프레임으로 설정해도 사용자가 입력한 표시 내용이 바뀌거나 시..
2024.09.01 -
[Unity] 스크립트
오늘은 Unity의 스크립트에 대해 공부해봤어요Unity의 스크립트는 C#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먼저 스크립트는 Project창에 우클릭을 해서 Create - C# Script 로 만들 수 있더라구요 만들어진 스크립트입니댜 이름은 'Test'로 정했어요 만들어진 스크립트를 더블 클릭했더니 Visual Studio Code로 넘어가졌습니다 1~2번 줄의 System.Collections와 System.Collections.Generic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을 제공한다고 하네요(int나 char같은 자료형? 인것 같습니다만 아직은 정확히 모르겠네요;) 3번줄의 unityEngine은 유니티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하고 하네요 5번 째 줄에서는 클래스명을 정한거라 하네요 C#으로 작..
2024.09.01 -
[Unity] 프로파일러
프로파일러는 3D게임에서 처리해야 할 부분이 많아지면 분석을 위해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라 하네요 프로파일러는 Game 뷰 오른쪽 위엥 있는 Stats를 클릭해서 볼 수 있다고 하네요 프로파일러에서 FPS나 그리기 폴리곤(Polygon)수, 패치 수, 드로우 콜(Draw Call) 수 등을 확인 할 수 있었어요 프로파일러는 전용 프로파일러로 자세히 살펴 볼 수 있다고 하네요 Window - Analysis - Profiler를 선택하면 Profiler창이 나타납니댜. 이것이 전용 프로파일러라고 하나 보네요나중에 요긴하게 사용할 것 같네요 다음부터는 스크립트의 기본 문법을 공부해서 올릴 예정이에욥 많이 설레네요
2024.08.31 -
[Unity] 씬 저장하기
씬을 저장하는 방법을 공부해 봤어요. 제가 지금까지 작업한 결과물을 저장하고 싶을 때 씬 저장을 사용하는 걸로 보이더라구요 도구 바에서 File - Save As를 선택하면 씬을 저장할 수 있는 창이 뜨더라고욥 저는 저장할 씬 이름으로 'TestScene'을 입력하고 저장버튼을 눌러서 씬을 저장했어요 저장된 씬은 Project창에서 확인할 수 있었어요
2024.08.31 -
[Unity] 정육면체 추가하기
간단하게 정육면체를 추가하는 내용을 학습해봤어요. 말 그대로 정육면체 오브젝트를 Scene 화면에 추가하는 간단한 작업이었어요 Hierarchy창에서 +를 클릭해서 3D Object - Cube를 선택하게 되면 Scene 뷰와 Hierarchy 창에 Cube가 추가되었네욥 정말 간단한 작업이었습니댜.. 여기서 알고 있어야 할 점은 Hierarchy창의 오브젝트 목록은 Scene 뷰의 오브젝트와 일대일로 대응한다는 점이네요 풀어서 말하자면 Hierarchy 창의 오브젝트 목록에 Cube라는 오브젝트가 하나 있으면 Scene 뷰에서는 단 하나의 정육면체만 나온다는 것이죠! Cube오브젝트 하나로 Scene뷰에 여러개의 정육면체를 생성할 수 없다는 것이라 이해하면 좋을 듯 합니다. 만약 정육면체를 하나더 추가..
2024.08.31 -
[Unity]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하는 게임을 만들고 싶으면?
설치한 유니티 버전마다 플랫폼에 대응하는 모듈을 추가해야 된다고 하네요?인문하자마자 유의해야 할 내용이..ㅁㅊ 모듈을 추가하는 방법은Unity Hub의 설치 목록에서 파랑색 동그라미는 클릭하면 '모듈 추가' 항목이 나오는데 그걸 클릭하면 이렇게 모듈을 추가할 수 있는 창이 뜹다 하네요 아이폰용 게임을 만들고 싶으면 iOS Build Support를,안드로이드용 게임을 만들고 싶다면 Android Build Support, OpenJDK, Android SDK & NDK Tools를 추가하면 된다네요. 근데 이미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면 모듈 체크 박스는 표시되지 않는다니 이것만 주의하면 될 것 같네요
2024.08.30